이율배반(二律背反)은 서로 다른 두 명제가 동시에 성립할 수 없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로, 겉보기엔 모두 옳아 보이지만 함께 존재할 수 없는 모순을 뜻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이율배반 한자, 뜻, 유래, 실제 사용 예시등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
이율배반 한자, 뜻
- 이(二): 두 이
- 율(律): 법 율 (규칙, 법칙)
- 배(背): 등 배 (등지다, 어기다)
- 반(反): 돌이킬 반 (반대되다, 어긋나다)
이율배반 유래
이율배반이라는 말은 단순한 한자 고사성어가 아니라, 서양 철학 개념을 번역하며 탄생한 신조어입니다 그 기원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(Immanuel Kant)의 개념인 Antinomie(안티노미)에서 시작됩니다
칸트는 『순수이성비판』에서 인간 이성이 스스로를 넘어 절대적 진리를 추론하려 할 때, 서로 충돌하는 두 명제가 모두 논리적으로 성립 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철학적 딜레마를 설명하기 위해서 Antinomie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를 설명하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명제를 제시했습니다
-
우주는 시작이 있다 vs 우주는 시작이 없다
-
모든 것은 단순 요소로 이루어진다 vs 단순 요소는 존재하지 않는다
이처럼 두 명제 모두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동시에 참일 수는 없는 상황, 이것이 바로 이율배반의 철학적 뿌리입니다
19세기 말, 서양 철학을 일본으로 들여오던 시기에 일본 학자들이 이 개념을 한자어로 번역하며 二律背反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졌습니다
-
二(둘): 두 가지 원칙
-
律(법칙/원리): 이성이 따르는 규칙
-
背反(등지고 반하다): 서로 어긋나고 양립 불가
이 조어는 기존 동양 철학에 존재하지 않던 개념으로, 서양의 논리적 딜레마를 표현하기 위해 새롭게 창안된 용어였습니다
이후 이 용어는 일본 철학서와 번역서를 통해 한국으로 전해졌으며, 초기에 학술·사상 분야에서 쓰이다가 점차 언론·문학·사회 담론으로 확산되면서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개념어가 되었습니다 단순 모순이 아니라, 둘 다 옳아 보이지만 함께 성립할 수 없는 사유의 충돌을 표현하는 말로 정착하게 된 것입니다
현실에서 쓰이는 표현 실제 사용 예시
이율배반은 단지 철학 용어가 아니라 현실 속에서도 자주 쓰인다. 특히 뉴스나 논평에서 가치의 충돌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
사용 예시
- “국민의 알 권리와 개인의 사생활 보호는 이율배반적 상황에 놓여 있다.”
-
“경제 성장과 환경 보전 사이의 이율배반은 해결하기 어렵다.”
-
“자유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규제를 요구하는 태도는 이율배반적이다.”
이처럼 이율배반은 단순한 모순이 아니라 둘 다 옳아 보이지만 충돌하는 갈등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
[함께 보면 좋은 정보]